[출처] 그냥 그렇게 살다가 갈 거라고? 최병철 지음|작성자 제이원
우리가 진정으로 두려워해야 할 것은
95%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목이
아니라 불확실한 미래입니다.
확실한 것과 불확실한 것
● 확실한 것 네 가지
첫째, 사람은 누구나 죽는다는 것
둘째, 혼자서 죽는다는 것
셋째. 죽음에는 순서가 없다는 것
넷째, 빈손으로 간다는 것
● 불확실 한 것 세 가지
첫째, 언제 죽을지 모른다는 것
둘째, 어디서 죽을지 모른 다는 것
셋째. 어떻게 죽을지 모른 다는 것
두려움에 떨지 마십시오
두려움은 우리 마음이 만들어낸 허상이다.
돈을 잃은 것은 적은 것을 잃은 것이요명예를 잃은 것은 많은 것을 잃은 것이고,
건강을 잃은 것은 모든 것을 잃은 것이다.
신분 상승을 위해서는 3대에 걸친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만약 1세대에 의한 결과치를 즐기는 일에 치중하고 있다면 결국 가난은 세습될 수 밖에 없다.
1세대란 먹고사는 생계해결의 문제가 가장 시급했던 우리 부모님의 세대로서 배고픔을 참고,
밤늦도록 일하고 어떻게든 자식을 교육시키는 것에 모든 힘을 쏟아 부었던 시대2세대는 1세대의 희생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세대로서 1세대에 의해 형성된 약간의 풍요를 누리게 된다.
이 세대는 자산을 형성하고 꿈을 가지며, 지혜를 배워서 신분상승의 기틀을 형성해야 하는 세대이다.
3세대는 형성된 자산을 기반으로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해 가는 세대라고 할 수 있을 것이고
이때가 되어야 진정한 신분상승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혹시 나는 어떤 단계에 있나?
생계해결 단계에 일을 하고 있지는 않은지?
만약 생계해결에 급급하다면 자산형성을 할 수 없다.
그러면 나의 자녀도 나와 같은 일을 하게 될 것이다.
이것을 가난의 세습이라고 한다.
그냥 그렇게 살다가 가는 것이 쉽지 않다고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인생에서 3대 불행은 소년성공, 중년상처, 노년무전 이라고 했습니다.
우리는 약 12년에서 20년을 준비해서 40년(80세 기준) 이상을 살아가야 하는 시대이다.
노후 40년을 위해 당신은 어떤 준비를 하고 있습니까?어떻게 해야 합니까?-
방법을 바꾸십시오.변화 할 때의 고통보다 변화당할 때의 고통이 횔씬 크다.
변해야 합니다. 5%의 생각으로버려야 합니다.
95%의 생각을
5층짜리 아파트 옥상에서 바라보는 세상과 25층짜리 아파트 옥상에서 바라보는 세상
그리고 산 정상에 올라가서 바라보는 세상은 분명히 다르다.보이는 것이 다르면 느끼는 것 또한 다르다.
어떻게든 정상까지 올라 가야 한다.
성공을 위한 중요한 과제는 = 지속성 이다.
*지속성의 전제 조건 세 가지성과가 나와야 한다.
성과가 나오려면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
경쟁력은 반복에서 나온다.반복은 단순해야 가능하다.
단순한 것은 속도가 빠르고 결국 여유가 생긴다.그러면 즐겁다.
즐거운 일은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게 된다.
5%의 생각을 지속적으로 행동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5%의 삶을 살고 있거나,
5%의 삶을 살기 원하는 사람 속에 들어가고 또 머물러 있어야 한다.
지금부터라도 만나는 사람을 바꾸십시오.
*성공 하지 못하는 유형
1. 자신의 미래에 대해서 아무 생각이 없는 사람
2. 책을 읽지 않는 사람
3. 말만하고 행동하지 않는 사람
4. 남을 욕하고 불평불만만 하는 사람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열심히 살아간다.
하지만 열심히 산다고 모두가 성공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부자가 되려면 부자가 될 수 있는 수단을 선택해야 된다.
부자처럼 행동해야 부자가 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2RYOP/btrGKb09pif/8U4nxSjwHiAy2or2NIF0X1/img.png)
비즈니스에서 꼭 기억해야 할 3가지 Point
첫째, Strong Point(거점, 장점, 강점)
둘째, Turning(갈림길)
셋째, Break Even Point(손익분기점)
인생을 살아가면서 꼭 갖추어야 할 것은
시간, 나누고 베푸는 기쁨, 돈, 일, 친구(배우자포함)
어느 것 하나만을 위해 살기에도 너무 벅찬 삶인데 다섯 가지를 다 얻기는 너무도 힘이 든다.
돈만 해결되면 나머지는 자동으로 될 것이라고 생각 하지만
나머지 4가지를 가지지 않고서는 돈이 해결되지 않는 것이 인생의 수수께끼 이다.
이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에 대한 해답은 없을까?
그것은 바로 덤을 가지는 것이다.
성공자와 보통 사람의 가장 큰 차이는?
- 나를 대신할 덤(team)을 형성하고 있는지의 유무이다.
없다 <------- 팀(team)형성 -------> 있다
보통사람 성공한 사람
나와 뜻을 같이 하는 팀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나와 같이 행동하는 사람을 찾아라.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으로 설득하거나 만들려 하지 마라 시간 낭비다.
나와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을 찾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다.
※ 80:20의 법칙
1. 내가 올리는 생산성의 80%는 투자한 시간의 20%에서
나온다.
2. 모든 부의 80%는 20%가 가진다. 단골이 만든다.
3. 매출의 80%는 20%의 단골이 만든다.
4. 20% 범죄자가 80%의 범죄를 저지른다.
돈은 성공의 목표가 아니라 척도이다.
-아담스
[출처] 그냥 그렇게 살다가 갈 거라고? 최병철 지음|작성자 제이원
'배움-공부 >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 들수록 인생이 점점 재미있어 지네요.와카미야 (책이야기.북리뷰 10) (0) | 2024.08.25 |
---|---|
반농반선 [ 半農半禪 ] / 일하지 않는 즐거움 (0) | 2021.05.04 |
가끔은 격하게 외로워야한다 내 삶의 주인이되는 문화심리학 (0) | 2016.02.11 |
혼자 있는 시간의 힘 <기대를 현실로 바꾸는> (0) | 2016.01.31 |
돈에서 자유로워지는 시간 (0) | 2016.01.29 |